본문 바로가기
728x90

부동산4

전세금 대출 신청 방법(임대보증금 반환자금 보증 대출) 전세금 대출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내가 전세입자라서 전세집에 들어가기 위해 모자란 전세금을 대출받는 것 둘째, 내가 임대인이라서 전세를 주었는데, 임차인(전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줘야 하는데 이 자금이 모자랄 때 대출받는 것 오늘은 이 중에 임대인 입장에서 전세금을 대출받는 "임대보증금 반환자금 보증 대출"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용어정리] 1. 임대보증금 = 전세금 2. 반환 자금 = 전세 계약시에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세금을 다시 돌려줘야 하는 자금 3. 보증 =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법에 정해진 대로 전세금에 대해 담보로서 적절하다고 인정을 해주는 행위 4. 대출 = 은행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한 만큼의 돈을 빌려주는 것 [왜?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의 보증이 필요할까요?] 집.. 2023. 2. 20.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 방법 오피스텔 시가표준액을 구했다면, 이제 재산세를 계산해봅시다. 오피스텔 재산세는 다음 순서로 구하면 됩니다. 1. 내 오피스텔이 주거용인지 상업용인지 알기 2. 주거용인 경우 A번 계산식으로 계산 3. 상업용인 경우 B번 계산식으로 계산 A번 계산식 : 시가표준액 X공정거래가액비율 60% X 세율 B번 계산식 : (1) 건축물 시가표준액 X공정거래가액비율 70% X 세율(0.25%) (2) 토지 공시지가 X공정거래가액비율 70% X 세율 1. 주거용 오피스텔의 재산세 계산(A번 계산식) 오피스텔은 주거용으로도, 상업용으로도 쓰이죠. 임대사업자 기준으로 설명하면, 주택임대사업자 VS 일반 임대사업자의 차이입니다. 내 오피스텔에 주택임대사업자를 내고 임대를 주고 있거나, 일반 임대사업자라 하더라도 실제 주거용.. 2021. 4. 30.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구하는 법 오피스텔 시가표준액은 재산세, 취득세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또한 최근 오피스텔을 주택에 포함시키면서 1억 미만의 오피스텔은 제외를 시켜주었는데요, 이때 1억의 기준이 되는 금액도 시가표준액입니다. 시가표준액, 재산세를 스스로 계산할 줄 알아야 하는 이유 오피스텔이 주택이 포함되느냐 안되느냐에 따라 취득세부터 여러 가지 세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스스로 계산할 줄 알아야 제대로 된 투자를 할 수 있고요. 부동산 말만 들었다가 나중에 생각지도 못한 세금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취득세는 원래 실거래가 기준으로 신고하고 내면 별 문제가 없었는데요, 최근 공시지가가 오르면서 시가표준액이 실거래가보다 더 높은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러자 지방정부에서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취득세를 부과해서 갈등이 빚.. 2021. 4. 18.
양도소득세 계산/신고시 필요경비는 무엇이고 어떻게 챙길까 양도소득세는 기본적으로 취득가액보다 양도가액이 높을 때 그 차액을 소득으로 보고, 소득에 대해 세금을 매기는 개념입니다. 그래서 시세차익이 없었다면 양도소득세 아예 발생하지 않는데도, 간혹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양도차익이 적으면 적을수록 세금도 적게나오겠죠? 하지만 비싸게는 팔고 싶고 세금은 적게 내고 싶은 게 사람 마음이잖아요? 그러려면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을 최대한 많이 찾아내서 양도차익에서 공제하는 게 좋은 방법이겠죠. 그 첫단계인 필요경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차익 계산법 양도차익 = 양도가(매매가) - 취득가 - 필요경비 여기서 필요경비에 해당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취득시 발생한 경비 취득세 등록세 취득중개수수료 법무사 비용 인지, 증지세 등(법무사 비용에 포함되기도 .. 2021. 4.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