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대학입시

미국대학교 입시준비 팁

by 꿈꾸는 호수 2022. 9. 2.
반응형

[출처] 원하는 미국 대학교 입시 준비 (상따모-글로벌 상위 10% 인재 따라잡기 모임/국제학교 커뮤니티) | 작성자 celinekim

 

상따모-글로벌 상위 10% 인재 따라... : 네이버 카페

외국인학교,국제학교,보딩스쿨, SAT, AP,IB,A-LEVEL, SSAT 학습정보 및 학생, 학부모, 강사 커뮤니티 포탈

cafe.naver.com

 

체크리스트

 

1. 9 학년때부터 12학년까지 GPA (학교 성적) - AP든 IB 든

2. SAT / ACT / SAT 2 성적

3. Common App Essay (대학교 에세이)와 각 대학교들이 물어보는 짧은 질문들 답변

4. Common App Activity (활동들)

5. 2개 이상의 선생님 추천서

6. (미술/사진 전공 - 미술 포트폴리오)

1. 성적 관리는 9학년때부터가 핵심!

먼저, 요즘 국제학교나 보딩 스쿨 사교육 경쟁이 심해서

학부모님들이 초등학교 때랑 중학교 때부터 엄청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근데 이렇게 일찍부터 시작하면, 정말 번아웃 되어서 오히려 고등학교때 지치는 얘들이 진짜 수두룩합니다...

 

중학교 때랑 초등학교때는 정말 공부하는 습관 만 잘 만들어놓으면 생각해요 .

어떠한 공부 방식이 자기랑 잘 맞는지를 찾는게 중요하지 미국 대학교는 중학교 성적 절대 안봅니다.

(중학교때 경시대회/수상 경력 이런 것도 대학교 원서에 잘 안 씁니다. 고등학교 시작부터의 활동들 (최근에 했던 활동)들을 더 궁금해합니다)

그러니까, 성적이 잘 안나오더라도 너무 조급해하지마세요. 고등학교때부터가 진짜 경쟁이라고 생각합니다.

성적은 관리하되 모든 힘을 쏟아부으면 절대 안됩니다.

2. 활동들 관리

만약, 미국 대학교는 GPA/SAT I/ SAT II과목 시험 점수들만 본다고 생각하면 정말 큰 오산입니다.

미국 대학교는 Common App이라는 관리 시스템으로 최대 10가지의 활동들을 쓸 수 있습니다.

무조건 10가지를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이 학생은 공부말고 다른 시간을 어떤 식으로 보내며, 어떤 미래를 지향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대학교 입장에서는 시험 점수는 기본 (모든 학생들이 제출하는 점수) 이며,

이 학생이 왜 이 대학교에 맞는지 대해 알아가는 부분은 Common App Activity 입니다.

 

 

과에 맞춰서

* 리더쉽을 보여줬던 활동들 (운동 팀의 주장/ 동아리 리더 등등)

* 과에 맞춰서 했던 활동들

* 경시 대회 성적

* 자신이 자랑스러웠던 결과물 (논문을 썼다던가... )

* 봉사활동 (봉사를 하더라도 어떤 사람들/어떤 사회적 이슈에 맞는 봉사를 했는지)

등등 있습니다.

3. 에세이 주제

 

대학교 에세이를 쓸 때는 무조건 대학교 홈페이지에 가서,

이 대학교에서 어떤 성향과 성적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원하는지 자세하게 조사하여

그 부분을 녹아 쓰는 에세이가 좋은 것 같습니다.

물론, 필력이 좋은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스토리 텔링 하면서 쓰지만,

그 대학교에서 원하는 학생상을 곁들이며 쓰는 것이 좋겠죠 ㅎㅎ

또는 원하는 대학교의 과에 대해 찾아보시면 교수 이름들이 나올 것입니다.

교수 이름들을 구글에 찾아보면,

어떤 활동과 경력을 가지고 있는지 나오십니다.

그래서 대학교에서 항상 물어보는 왜 이 학교/ 이 과에 오고 싶은지 물어볼때,

그 교수에 대해 쓰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 겠죠?

그리고 뻔한 얘기보다는 정말 진심으로 다가가야합니다 (뭐 어렸을때부터 이 학교가 멋있었고...

이런건 너무 뻔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정말 잘 썼다고 생각하는 에세이는 :

https://www.youtube.com/watch?v=OCOKO8b4i-Q

 

****

설령 원하는 대학교에 못 들어가도,

미국은 Transfer 시스템이 정말 잘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미국 1, 2 학년 성적을 관리해서 다시 원하는 대학교에 지원하는 경우도 많으니

참고하세요 ㅎㅎ

4. Letter of Recommendation (추천서)

사실, 저는 진짜 이 부분을 신경을 안쓴게 조금 후회됩니다. 저는 친한 선생님들이 없어서 추천서 부탁할때 조금... 힘들었습니다. (어떤 말을 썼는지 학생들은 읽을 수도 없어서 걱정 되기도 했고요..)

선생님들과 좋고 친한 관계를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방과 후, 찾아뵈서 문제도 많이 물어보고, 친목을 쌓으면 추천서 받을때 정말 원만합니다.

(친분이 없는 선생님들에게 추천서 써달라고 하면 거절 합니다)

그러니까 2명 정도는 친하게 지내세요...

감사합니다ㅎㅎ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