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시가표준액을 구했다면, 이제 재산세를 계산해봅시다.
오피스텔 재산세는 다음 순서로 구하면 됩니다.
1. 내 오피스텔이 주거용인지 상업용인지 알기
2. 주거용인 경우 A번 계산식으로 계산
3. 상업용인 경우 B번 계산식으로 계산
A번 계산식 : 시가표준액 X공정거래가액비율 60% X 세율
B번 계산식 : (1) 건축물 시가표준액 X공정거래가액비율 70% X 세율(0.25%)
(2) 토지 공시지가 X공정거래가액비율 70% X 세율
1. 주거용 오피스텔의 재산세 계산(A번 계산식)
오피스텔은 주거용으로도, 상업용으로도 쓰이죠.
임대사업자 기준으로 설명하면, 주택임대사업자 VS 일반 임대사업자의 차이입니다.
내 오피스텔에 주택임대사업자를 내고 임대를 주고 있거나, 일반 임대사업자라 하더라도 실제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오피스텔은 주택으로 취급합니다.
주택의 재산세는 주택 공시 가격 X공정거래가액비율 60% X 세율로 계산합니다.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 공시 가격=시가표준액
입니다.
오피스텔의 시가표준액 구하는 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으니 참고하세요.
시가표준액을 구한 뒤 여기에 공정거래가액비율인 60%를 곱하면 과세표준이 되는데요.
이 과세표준금액이 아래 표에서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보면, 세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가표준액이 1억이면,
100,000,000X60%=60,000,000원
6천만 원 이하에 해당하므로 세율은 0.10%입니다.
그래서 시가표준액이 1억 원인 오피스텔의 재산세는
60,000,000X0.10%=60,000원입니다.
구간 |
세율 |
6천만 원 이하 |
해당 금액의 0.10% |
6천만 원 초과~1.5억 원 이하 |
6만 원+6천만 원 초과금액의 0.15% |
1.5억 원 초과~3억 원 이하 |
19만 5천 원+1.5억 원 초과금액의 0.25% |
3억 원 초과 |
57만 원+3억 원 초과금액의 0.40% |
이렇게 계산한 재산세를 가지고 지방교육세와 같은 부가세를 구해서 합산하면, 최종 재산세가 나옵니다. 그리고 재산세는 1년에 두 번으로 나누어 내기 때문에 방금 계산한 재산세를 1/2 하여 각각 7월과 9월에 납부하게 되지만, 총액이 20만 원 이하일 때는 7월에 한 번에 납부하게 됩니다.
2. 상업용 오피스텔의 재산세 계산(B번 계산식)
상업용 오피스텔의 기준은 오피스텔을 실제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일반 임대사업자로 등록을 해야겠지요.
상업용 오피스텔의 재산세는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와 토지에 대한 재산세를 따로 계산합니다.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해당 사이트에서 건축물 시가표준액을 찾아 70%를 곱하면 과세표준금액이 나오고요. 오피스텔은 기타 건물에 해당하기에 단일세율인 0.25%를 곱하면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가 나옵니다.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 = 건축물 시가표준액 X70% X0.25%
토지 부분에 대한 재산세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해당 사이트에서 공시지가를 찾아서 해당 오피스텔의 면적을 곱하면 과세기준이 되는 땅값이 나오겠죠. 여기에 공정가액 70%를 곱한 뒤 세율인 0.2%(2억 원 이하일 경우)를 곱하면 됩니다.
토지에 대한 재산세 = 공시지가 X면적 X70% X0.2%
세율은 원래 구간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오피스텔의 땅값은 2억 원 이하이므로 0.2% 세율이 일반적으로 적용됩니다.
그렇다면, 위에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한 시가표준액 1억 원짜리 오피스텔을 일반 임대사업자를 냈을 경우 재산세를 구해서 비교해볼까요?
시가표준액 1억 원은 건축물에 대한 시가표준액+공시지가로 구성되고, 대부분 그 비율이 유사하므로, 건축물에 대한 시가표준액이 6천만 원, 공시지가는 4천만 원이라고 해봅시다.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 = 60,000,000원 X70% X0.25%=105,000원
토지에 대한 재산세 = 40,000,000원 X70% X0.2%=56,000원
합해서 161,000원입니다.
상업용 오피스텔의 재산세는 7월에 건축물에 대한 부분, 9월에 토지에 대한 부분이 부과되니, 위의 사례에서는 7월에 105000원 고지서를 받고, 9월에 56,000원 고지서를 받겠네요.
주택 임대하였을 때 재산세가 6만 원인 것과 비교하면 일반 임대사업자인 경우 161,000원이니 차이가 많이 나네요.
하지만 오피스텔을 주택 취급을 하게 되면, 2 주택, 3 주택이 되어 종부세와 같은 부동산 관련 세금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상업용으로 일반 임대사업자를 내면 주택에 포함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요.
본인의 상황에 맞게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이런저런 세금을 계산할 줄 알아야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어요. 재산세 계산하는 것은 기본이고요.
'재테크,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로부터의 증여 세무조사는 전수조사? (0) | 2022.04.28 |
---|---|
해외에서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0) | 2021.05.25 |
보유세, 복비, 부동산 계산기의 끝판왕 (0) | 2021.04.25 |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구하는 법 (0) | 2021.04.18 |
양도소득세 계산/신고시 필요경비는 무엇이고 어떻게 챙길까 (0) | 2021.04.13 |
댓글